문화부 고시 제1992-31호(1992. 11. 27)
문화체육부 고시 제1995호(1995. 3. 16)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
제2장 표기 일람표 표 1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자 음 반 모 음 모 음 국 제 음 성 기 호 한 글 국 제 음 성 기 호 한 글 국 제 음 성 기 호 한 글 모 음 앞 자음 앞 또는 어 말 p ㅍ ㅂ, 프 j 이* i 이 b ㅂ 브 Ч 위 y 위 t ㅌ ㅅ, 트 w 오, 우* e 에 d ㄷ 드 ø 외 k ㅋ ㄱ, 크 ε 에 g ㄱ 그 앵 f ㅍ 프 œ 외 v ㅂ 브 욍 θ ㅅ 스 æ 애 ð ㄷ 드 a 아 s ㅅ 스 a 아 z ㅈ 즈 앙 ∫ 시 슈, 시 ∧ 어 ㅈ 지 ⊃ 오 ts ㅊ 츠 옹 dz ㅈ 즈 o 오 t∫ ㅊ 치 u 우 ㅈ 지 ∂** 어 m ㅁ ㅁ 어 n ㄴ ㄴ η 니* 뉴 ŋ ㅇ ㅇ l ㄹ, ㄹㄹ ㄹ r ㄹ 르 h ㅎ 흐 ç ㅎ 히 x ㅎ 흐
외래어는 표 1~13에 따라 표기한다.
* [j], [w]의 '이'와 '오, 우', 그리고 [Т]의 '니'는 모음과 결합할 때 제3장 표기 세칙에 따른다.
** 독일어의 경우에는 '에', 프랑스어의 경우에는 '으'로 적는다.
http://www.hangul.or.kr/M4-5-2-1.htm
자모 |
한 글 |
보 기 |
||
모음 앞 |
자음 앞 어 말 |
|||
자 음 |
b |
ㅂ |
브 |
biz 비스, blandon 블란돈, braceo 브라세오 |
c |
ㅋ, ㅅ |
ㄱ, 크 |
colcren 콜크렌, Cecilia 세실리아, coccion 콕시온, bistec 비스텍, dictado 딕타도 |
|
ch |
ㅊ |
- |
chicharra 치차라 |
|
d |
ㄷ |
드 |
felicidad 펠리시다드 |
|
f |
ㅍ |
프 |
fuga 푸가, fran 프란 |
|
g |
ㄱ, ㅎ |
그 |
ganga 강가, geologia 헤올로히아, yungla 융글라 |
|
h |
- |
- |
hipo 이포, quehacer 케아세르 |
|
j |
ㅎ |
- |
jueves 후에베스, reloj 렐로 |
|
k |
ㅋ |
크 |
kapok 카포크 |
|
l |
ㄹ, ㄹㄹ |
ㄹ |
lacrar 라크라르, Lulio 룰리오, ocal 오칼 |
|
ll |
이* |
- |
llama 야마, lluvia 유비아 |
|
m |
ㅁ |
ㅁ |
membrete 멤브레테 |
|
n |
ㄴ |
ㄴ |
noche 노체, flan 플란 |
|
|
니* |
- |
|
|
p |
ㅍ |
ㅂ, 프 |
pepsina 펩시나, plantón 플란톤 |
|
q |
ㅋ |
- |
quisquilla 키스키야 |
|
r |
ㄹ |
르 |
rescador 라스카도르 |
|
s |
ㅅ |
스 |
sastreria 사스트레리아 |
|
t |
ㅌ |
트 |
tetraetro 테트라에트로 |
|
v |
ㅂ |
- |
viudedad 비우데다드 |
|
x |
ㅅ, ㄳ |
ㄱ스 |
xenón 세논, laxante 락산테, yuxta 육스타 |
|
z |
ㅅ |
스 |
zagal 사갈, liquidez 리키데스 |
|
반모음 |
w |
오.우* |
- |
walkirias 왈키리아스 |
y |
이* |
- |
yungla 융글라 |
|
모 음 |
a |
아 |
braceo 브라세오 |
|
e |
에 |
reloj 렐로 |
||
i |
이 |
Lulio 룰리오 |
||
o |
오 |
ocal 오칼 |
||
u |
우 |
viudedad 비우데다드 |
- * ll, y,
, w의 '이, 니, 오, 우'는 다른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음절로 적는다.
자모 |
한 글 |
보 기 |
||
모음 앞 |
자음 앞 어 말 |
|||
자 음 |
b |
ㅂ |
브 |
Bologna 볼로냐, bravo 브라보 |
c |
ㅋ, ㅊ |
크 |
Como 코모, Sicilia 시칠리아, credo 크레도 |
|
ch |
ㅋ |
- |
Pinocchio 피노키오, cherubino 케루비노 |
|
d |
ㄷ |
드 |
Dante 단테, drizza 드리차 |
|
f |
ㅍ |
프 |
Firenze 피렌체, freddo 프레도 |
|
g |
ㄱ, ㅈ |
그 |
Galileo 갈릴레오, Genova 제노바, gloria 글로리아 |
|
h |
- |
- |
hanno 안노, oh 오 |
|
l |
ㄹ, ㄹㄹ |
ㄹ |
Milano 밀라노, largo 라르고, palco 팔코 |
|
m |
ㅁ |
ㅁ |
Macchiavelli 마키아벨리, mamma 맘마, |
|
Campanella 캄파넬라 |
||||
n |
ㄴ |
ㄴ |
Nero 네로, Anna 안나, divertimento 디베르티멘토 |
|
p |
ㅍ |
프 |
Pisa 피사, prima 프리마 |
|
q |
ㅋ |
- |
quando 콴도, queto 퀘토 |
|
r |
ㄹ |
르 |
Roma 로마, Marconi 마르코니 |
|
s |
ㅅ |
스 |
Sorrento 소렌토, asma 아스마, sasso 사소 |
|
t |
ㅌ |
트 |
Torino 토리노, tranne 트란네 |
|
v |
ㅂ |
브 |
Vivace 비바체, manovra 마노브라 |
|
zㅈ |
쁁 |
- |
nozze 노체, mancanza 만칸차 |
|
모 음 |
a |
아 |
abituro 아비투로, capra 카르라 |
|
e |
에 |
erta 에르타, padrone 파드로네 |
||
i |
이 |
infamia 인파미아, manica 마니카 |
||
o |
오 |
oblio 오블리오, poetica 포에티카 |
||
u |
우 |
uva 우바, spuma 스푸마 |
가 나 |
한 글 |
|
어 두 |
어 중•어 말 |
|
ア イ ウ エ オ |
아 이 우 에 오 |
아 이 우 에 오 |
カ キ ク ケ コ |
가 기 구 게 고 |
카 키 쿠 케 코 |
サ シ ス セ ソ |
사 시 스 세 소 |
사 시 스 세 소 |
タ チ ツ テ ト |
다 지 쓰 데 도 |
타 치 쓰 테 토 |
ナ ニ ヌ ネ ノ |
나 니 누 네 노 |
나 니 누 네 노 |
ハ ヒ フ ヘ ホ |
하 히 후 헤 호 |
하 히 후 헤 호 |
マ ミ ム メ モ |
마 미 무 메 모 |
마 미 무 메 모 |
ヤ イ ユ エ ヨ |
야 이 유 에 요 |
야 이 유 에 요 |
ラ リ ル レ ロ |
라 리 루 레 로 |
라 리 루 레 로 |
ワ (ヰ) ウ (エ) ヲ |
와 (이) 우 (에) 오 |
와 (이) 우 (에) 오 |
ン |
ㄴ |
|
ガ ギ グ ゲ ゴ |
가 기 구 게 고 |
가 기 구 게 고 |
ザ ジ ズ ゼ ゾ |
자 지 즈 제 조 |
자 지 즈 제 조 |
ダ ヂ ヅ デ ド |
다 지 즈 데 도 |
다 지 즈 데 도 |
バ ビ ブ ベ ボ |
바 비 부 베 보 |
바 비 부 베 보 |
パ ピ プ ペ ポ |
파 피 푸 페 포 |
파 피 푸 페 포 |
キャ キュ キョ |
갸 규 교 |
캬 큐 쿄 |
ギャ ギュ ギョ |
갸 규 교 |
가 규 교 |
シャ ツュ ツョ |
샤 슈 쇼 |
샤 슈 쇼 |
ジャ ジュ ジョ |
자 주 조 |
자 주 조 |
チャ チュ チョ |
자 주 조 |
차 추 초 |
ヒャ ヒュ ヒョ |
햐 휴 효 |
햐 휴 효 |
ビャ ビュ ビョ |
뱌 뷰 뵤 |
뱌 뷰 뵤 |
ピャ ピュ ピョ |
퍄 퓨 표 |
퍄 퓨 표 |
ミャ ミュ ミョ |
먀 뮤 묘 |
먀 뮤 묘 |
リャ リュ リョ |
랴 류 료 |
랴 류 료 |
성 모 (聲母) |
운 모 (韻母) | |||||||||||||||
음의 |
주음부호 |
한어병음자모 |
웨이드식로마자 |
한글 |
음의 |
주음부호 |
한어 |
웨이드식로마자 |
한글 |
음의 |
주음부호 |
한어 |
웨이드식로마자 |
한글 | ||
중순성 |
重脣聲 |
ㄅ |
b |
p |
ㅂ |
단 單 |
ㄚ |
a |
a |
아 |
결 結
|
ㅣㄢ |
yan (ian) |
yen (ien) |
옌 | |
ㄆ |
p |
p' |
ㅍ |
ㄛ |
o |
o |
오 |
ㅣㄣ |
yin(in) |
yin(ien) |
인 | |||||
ㄇ |
m |
m |
ㅁ |
ㄜ |
e |
ê |
어 |
ㅣㄤ |
yang (iang) |
yang (iang) |
양 | |||||
ㅣㄥ |
ying (ing) |
ying (ing) |
잉 | |||||||||||||
순치성* |
ㄈ |
f |
f |
ㅍ |
ㄝ |
ê |
e |
에 |
합 구 류 合口類
|
ㄨㄚ |
wa(ua) |
wa(ua) |
와 | |||
설첨성 |
舌尖聲 |
ㄉ |
d |
t |
ㄷ |
ㅣ |
yi(i) |
i |
이 | |||||||
ㄊ |
t |
t' |
ㅌ |
ㄨ |
wu(u) |
wu(u) |
우 |
ㄨㄜ |
wo(uo) |
wo(uo) |
워 | |||||
ㄋ |
n |
n |
ㄴ |
ㄩ |
yu(u) |
yü(ü) |
위 |
ㄨㄞ |
wai (uai) |
wai (uai) |
와이 | |||||
ㄌ |
l |
l |
ㄹ |
복
複
|
ㄞ |
ai |
ai |
아이 |
ㄨㄟ |
wei(iu) |
wei (uei, ui) |
웨이 (우이) | ||||
설근성 |
舌根聲 |
ㄍ |
g |
k |
ㄱ |
ㄟ |
ei |
ei |
에이 |
ㄨㄢ |
wan (uan) |
wan (uan) |
완 | |||
ㄎ |
k |
k' |
ㅋ |
ㄠ |
ao |
ao |
아오 |
ㄨㄣ |
wen (un) |
wên (un) |
원(운) | |||||
ㄏ |
h |
h |
ㅎ |
ㄡ |
ou |
ou |
어우 |
ㄨㄤ |
wang (uang) |
wang (uang) |
왕 | |||||
설면성 |
舌面聲 |
ㄐ |
j |
ch |
ㅈ |
부 附
|
ㄢ |
an |
an |
안 |
ㄨㄥ |
weng (ong) |
wêng (ung) |
웡(웅) | ||
ㄑ |
q |
ch' |
ㅊ |
ㄣ |
en |
ên |
언 |
촬구류 撮口類
|
ㄩㄝ |
yue(ue) |
yüeh (üeh) |
웨 | ||||
ㄒ |
x |
hs |
ㅅ |
ㄤ |
ang |
ang |
앙 |
ㄩㄢ |
yuan (uan) |
yüan (üan) |
위안 | |||||
교설첨성 |
翹舌尖聲 |
ㄓ |
zh [zhi] |
ch [chih] |
ㅈ [즈] |
ㄥ |
eng |
êng |
엉 |
ㄩㄣ |
yun (un) |
yün (ün) |
윈 | |||
ㄔ |
ch [chi] |
ch' [ch'ih] |
ㅊ [츠] |
권설 |
ㄦ |
er(r) |
êrh |
얼 |
ㄩㄥ |
yong (iong) |
yung (jung) |
융 | ||||
ㄕ |
sh [shi] |
sh [shih] |
ㅅ [스] |
제 치 류
齊 |
ㅣㄚ |
ya(ia) |
ya(ia) |
야 |
||||||||
ㄖ |
r [ri] |
j [jih] |
ㄹ [르] |
ㅣㄜ |
yo |
yo |
요 | |||||||||
설치성 |
舌齒聲 |
ㄗ |
z [zi] |
ts [tzŭ] |
ㅉ [쯔] |
ㅣㄝ |
ye(ie) |
yeh (ieh) |
예 | |||||||
ㄘ |
c [ci] |
ts' [tz'ŭ] |
ㅊ [츠] |
ㅣㄞ |
yai |
yai |
야이 | |||||||||
ㄙ |
s [si] |
s [ssŭ] |
ㅆ [쓰] |
ㅣㄠ |
yao (iao) |
yao (iao) |
야오 | |||||||||
ㅣㄡ |
you (ou, iu) |
yu (iu) |
유 |
[ ]는 단독 발음될 경우의 표기임.
( )는 자음이 선행할 경우의 표기임.
*순치성(脣齒聲), 권설운(捲舌韻)
표 6-표 13 (폴란드어-덴마크어)올리지 않았음
* 1986년에는 표가 다섯이었으나, 1992년과 1995년에 가각 추가로
고시됨에 따라, 표는 열셋으로 늘어났음.
제3장 표기 세칙
제1절 영어의 표기
제2절 독일어의 표기
제3절 프랑스어의 표기
제4절 에스파냐어의 표기
제5절 이탈리아어의 표기
제6절 일본어의 표기
제7절 중국어의 표기
제8절-15절 (폴란드어-덴마크어)올리지 않았음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제1절 표기 원칙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제3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예전포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Ollie N Lawrence (0) | 2016.01.03 |
---|---|
Country Abbreviation (0) | 2015.09.03 |
에스파냐어 표기법 (0) | 2015.04.21 |
프랑스어 표기 (0) | 2015.04.21 |
독일어 표기법 (0) | 201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