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에스파냐어 표기법 제4절 에스파냐어의 표기 표 2에 따라 적되,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제1항 gu, qu gu, qu는 i, e 앞에서는 각각 'ㄱ, ㅋ'으로 적고, o 앞에서는 '구, 쿠'로 적는다. 다만, a 앞에서는 그 a와 합쳐 '과, 콰'로 적는다. guerra 게라 queso 케소 Guipuzcoa 기푸스코아 quisquilla 키스키야 antiguo 안티구오 Quorem 쿠오렘 Nicaragua 니카라과 Quarai 콰라이 제2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단, -cc-는 'ㄱ ㅅ'으로 적는다. carrera 카레라 carreterra 카레테라 accion 악시온 제3항 c, g c와 g 다음에 모음 e와 i가 올 때에는 c는 'ㅅ'으로, g는 'ㅎ'으로 적고.. 더보기
프랑스어 표기 제3절 프랑스어의 표기 표 1에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프랑스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제1항 파열음([p], [t], [k], [b], [d], [g]) 1) 어말에서는 '으'를 붙여서 적는다. soupe[sup] 수프 tête[tεt] 테트 avec[avεk] 아베크 baobab[ba⊃bab] 바오바브 ronde[r:d] 롱드 bague[bag] 바그 2) 구강 모음과 무성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구강 모음+무성 파열음+무성 파열음 또는 무성 마찰음'의 경우)은 받침으로 적는다. septembre[sεptã:br] 셉탕브르 apte[apt] 압트 octobre[⊃kt⊃br] 옥토브르 action[aksj] 악시옹 제2항 마찰음([.. 더보기
독일어 표기법 제2절 독일어의 표기 표 1을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독일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제1항 [r] 1) 자음 앞의 [r]는 '으'를 붙여 적는다. Hormon[h⊃rmo:n] 호르몬 Hermes[hεrmεs] 헤르메스 2) 어말의 [r]와 '-er[∂r]'는 '어'로 적는다. Herr[hεr] 헤어 Razur[razu:r] 라주어 Tür[ty:r] 튀어 Ohr[o:r] 오어 Vater[fa:t∂r] 파터 Schiller[гil∂r] 실러 3) 복합어 및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는 2)의 규정을 준용한다. verarbeiten[fεrarbait∂n] 페어아르바이텐 zerknirschen[tsεrknir∫∂n] 체어크니르셴 Fü.. 더보기

반응형